인터넷 자료마다 달라서 꽤 많이 삽질했습니다.
이전 커널버전과는 너무 차이가 나고, 데비안 계열의 패키지를 처음 사용하느라 적응하는데 조금 힘들었습니다. 이틀 동안 무려 5번은 컴파일한 듯 ㅡㅡ;
Vmware로 실행하니까 장난 아니게 느리네요 ㅜㅜ
일단 gcc와 g++ 등 빌드 도구가 필요하므로..
하여 빌드 도구를 설치합니다.
두번째로.. 커널 소스가 필요하겠죠.. 커널 소스와 initrd-tools를 받습니다.
커널 소스는 아시다시피 /usr/src 디렉토리에 저장됩니다.
세번째로 필요한 건 Ncurses 라이브러리입니다. 뭐... 저는 예전의 Text 메뉴(menuconfig)가 익숙해서리 ncurses를 받았습니다.
압축을 풀고 일단 설정부터 합니다. 설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트에 연결된 다른 문서들을 참고하세요^^
설정을 다하고 저장한 후, 다음을 차례대로 실행합니다.
Vmware에서는 한 시간 넘게 걸리더군요. 식사시간에 맞춰서 실행하고 식사하고 오셔도 괜찮을 듯 합니다 @.@
마지막까지 실행되고 나면 무언가가 설정되었다는 화면이 마지막으로 뜹니다. 여기서 중요합니다. 저가 하루꼬박 삽질한 대목인데요.
바로 mkinitrd를 사용하여, initrd.img 파일을 만들어야합니다.
여기까지 왔으면, 거진 90%는 끝났습니다. 다음을 확인해봅니다.
아래 menu.lst는 제 리눅스의 설정입니다.
menu.lst 안에 설정에 대한 설명이 잘 되어 있으니 따라서 하면 쉽게 할 수 있을 껍니다^^ 진한 부분이 저가 첨가한 새로운 커널 이미지부분입니다.
재부팅하고 grub이 뜰때 esc를 눌러 새로운 메뉴를 선택하고, 커널 패닉이 안뜨면 성공한 겁니다.
이전 커널버전과는 너무 차이가 나고, 데비안 계열의 패키지를 처음 사용하느라 적응하는데 조금 힘들었습니다. 이틀 동안 무려 5번은 컴파일한 듯 ㅡㅡ;
Vmware로 실행하니까 장난 아니게 느리네요 ㅜㅜ
일단 gcc와 g++ 등 빌드 도구가 필요하므로..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하여 빌드 도구를 설치합니다.
두번째로.. 커널 소스가 필요하겠죠.. 커널 소스와 initrd-tools를 받습니다.
apt-get install linux-source-2.6 kernel-package initrd-tools
커널 소스는 아시다시피 /usr/src 디렉토리에 저장됩니다.
세번째로 필요한 건 Ncurses 라이브러리입니다. 뭐... 저는 예전의 Text 메뉴(menuconfig)가 익숙해서리 ncurses를 받았습니다.
apt-get install ncurses-dev
압축을 풀고 일단 설정부터 합니다. 설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트에 연결된 다른 문서들을 참고하세요^^
make menuconfig
설정을 다하고 저장한 후, 다음을 차례대로 실행합니다.
make
make modules_install install
make modules_install install
Vmware에서는 한 시간 넘게 걸리더군요. 식사시간에 맞춰서 실행하고 식사하고 오셔도 괜찮을 듯 합니다 @.@
마지막까지 실행되고 나면 무언가가 설정되었다는 화면이 마지막으로 뜹니다. 여기서 중요합니다. 저가 하루꼬박 삽질한 대목인데요.
바로 mkinitrd를 사용하여, initrd.img 파일을 만들어야합니다.
mkinitrd -o /boot/initrd.img-`uname -r` `uname -r`
여기까지 왔으면, 거진 90%는 끝났습니다. 다음을 확인해봅니다.
/boot/vmlinuz 생성날짜
/boot/initrd.img-컴파일한 커널 버전
/boot/grub/menu.lst
/boot/initrd.img-컴파일한 커널 버전
/boot/grub/menu.lst
아래 menu.lst는 제 리눅스의 설정입니다.
menu.lst 안에 설정에 대한 설명이 잘 되어 있으니 따라서 하면 쉽게 할 수 있을 껍니다^^ 진한 부분이 저가 첨가한 새로운 커널 이미지부분입니다.
title Ubuntu, kernel 2.6.10-5-386
root (hd0,0)
kernel /boot/vmlinuz-2.6.10-5-386 root=/dev/hda1 ro quiet splash
initrd /boot/initrd.img-2.6.10-5-386
savedefault
boot
title Ubuntu, kernel 2.6.10-5-386 (recovery mode)
root (hd0,0)
kernel /boot/vmlinuz-2.6.10-5-386 root=/dev/hda1 ro single
initrd /boot/initrd.img-2.6.10-5-386
savedefault
boot
title Ubuntu, kernel memtest86+
root (hd0,0)
kernel /boot/memtest86+.bin
savedefault
boot
title Ubuntu, kernel 2.6.10 (test mode)
root (hd0,0)
kernel /boot/vmlinuz root=/dev/hda1 ro quiet splash
initrd /boot/initrd.img-2.6.10
savedefault
boot
root (hd0,0)
kernel /boot/vmlinuz-2.6.10-5-386 root=/dev/hda1 ro quiet splash
initrd /boot/initrd.img-2.6.10-5-386
savedefault
boot
title Ubuntu, kernel 2.6.10-5-386 (recovery mode)
root (hd0,0)
kernel /boot/vmlinuz-2.6.10-5-386 root=/dev/hda1 ro single
initrd /boot/initrd.img-2.6.10-5-386
savedefault
boot
title Ubuntu, kernel memtest86+
root (hd0,0)
kernel /boot/memtest86+.bin
savedefault
boot
title Ubuntu, kernel 2.6.10 (test mode)
root (hd0,0)
kernel /boot/vmlinuz root=/dev/hda1 ro quiet splash
initrd /boot/initrd.img-2.6.10
savedefault
boot
재부팅하고 grub이 뜰때 esc를 눌러 새로운 메뉴를 선택하고, 커널 패닉이 안뜨면 성공한 겁니다.
'개발 끄적임들 > 케케묵어버린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나의 데스크탑 스크린샷... (0) | 2005.04.19 |
---|---|
우분투 한글 폰트 설치하기 (4) | 2005.04.16 |
커널 2.6대에서의 간단한 모듈 프로그래밍^^ (0) | 2005.04.11 |
Ubuntu 여러정보들^^과 Live CD! 정보 모음 링크 (0) | 2005.04.10 |
root 계정에 관하여.. (0) | 2005.04.10 |